백두산 여행(10) 북한과 중국의 접경도시 도문에서 두만강 투어[2] 북한과 중국의 접경도시 도문에서 두만강 투어[2] 우리나라 땅 북한을 중국 도문에서 두만강을 국경으로 해서 건너다보는 마음은 매우 서글프고 착찹 했다. 도문지역은 북한과 중국의 국경지대의 하나로 삼면이 바다이고 휴전선으로 막혀있어 다른 나라와의 국경을 접할 기회가 없는 남.. 아시아 여행 2013.07.05
백두산 여행(9) 북한과 중국의 접경도시 도문에서 두만강 투어[1] 북한과 중국의 접경도시 도문에서 두만강 투어[1] 우리나라 땅 북한을 중국 도문에서 두만강을 국경으로 해서 건너다보는 마음은 매우 서글프고 착찹 했다. 도문지역은 북한과 중국의 국경지대의 하나로 삼면이 바다이고 휴전선으로 막혀있어 다른 나라와의 국경을 접할 기회가 없는 남.. 아시아 여행 2013.07.05
백두산 여행(8) 용정에서 도문으로 용정에서 도문으로 오전에 용정으로 오면서 일송정, 해란강을 차창으로 관광하고 대성중학교를 돌아보고 연길에서 점심식사를 한 후 두만강을 관광하기 위해 도문으로 가면서 중국 연변의 산하를 카메라로 스케치했다 아시아 여행 2013.07.05
백두산 여행(7) 민족시인 윤동주가 다녔던 용정중학교(구 대성중학교) 관광 민족시인 윤동주가 다녔던 용정중학교(구 대성중학교) 관광 연길에서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한 용정은 과거 일제시대에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펼쳐진 곳이다. 용정중학교는 과거 대성중학교로 민족시인 윤동주가 공부한 중학교로 유명하다. 지금도 연변 한인을 위한 중학교로 운영되고 .. 아시아 여행 2013.07.05
백두산 여행(6) 일송정과 해란강을 차창으로 관광 선구자 일송정 푸른 솔은 늙어 늙어 갔어도 한줄기 해란강은 천년 두고 흐른다 지난 갈 강가에서 말달리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용주사 우물가에 저녁 종이 울릴 때 사나이 굳은 마음 길이 새겨 두었네 조국을 찾겠노라 맹세하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아시아 여행 2013.07.05
백두산 여행(5) 이도백하에서 용정으로 이도백하에서 용정으로 어제 우리민족의 성산 백두산을 관광한 감격을 가슴에 간직 하고 용정을 향하여 07시에 이도백하를 출발하여 3시간여를 달리면서 버스 차창으로 스쳐가는 중국 연변의 산하를 카메라로 스케치했다 아시아 여행 2013.07.05
백두산 여행(4) 1년 내내 얼지 않는 장백폭포와 주변의 소폭포 투어 1년 내내 얼지 않는 장백폭포와 주변의 소폭포들 투어 백두산 천지 북쪽에 결구가 형성되어 천지물이 1천여m의 긴 협곡까지 흘러 폭포를 형성했다. 장백폭포는 높이가 60여m의 웅장한 폭포로 200m 멀리까지 폭포소리가 들린다고 한다. 폭포는 크게 두 갈래의 물줄기로 떨어지는데 동쪽 폭포.. 아시아 여행 2013.07.04
백두산 여행(3) 겨레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우리민족의 영산 백두산 겨레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우리민족의 영산 백두산 겨레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우리의 영산 백두산을 남의 나라 땅에 가서 보아야하는 분단현실이 가슴을 아프게 한다. 우리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은 중국 길림성 조선족 자치주에 자리잡고 있는 중국 동부 최고의 산맥이다. 이름은 화.. 아시아 여행 2013.07.04
백두산 여행(2) 연길에서 백두산(이도백하)으로 연길에서 백두산(이도백하)으로 백두산으로 가기 위해 오전 07:30시에 연길을 출발하여 3시간 반여를 달리면서 버스 차창으로 스쳐가는 중국 연변의 산하를 카메라로 스케치했다. 아시아 여행 2013.07.03